웰니스 산업의 미래 _ 미국 콘텐츠 산업 동향

2024. 9. 19. 21:49Wellness Business & Industry

 

 

1. 웰니스의 현재와 미래

  • 웰니스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큰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1조 5천억 달러 규모의 마켓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연간 성장률은 5-10%로 추정됩니다.
  • 맥킨지의 ‘웰니스의 미래’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웰니스를 건강한 삶을 증진시키는 경험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과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특히 병원, 약, 보험 등의 의료서비스를 제외한 웰니스 영역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습니다.
  • 조사 결과, 응답자의 79%가 웰니스가 개인 삶에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42%는 웰니스를 최우선순위로 두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웰니스에 대한 중요성은 조사된 국가들에서 최소 27%에서 최대 65%까지 증가 추세를 보였습니다.

 

2. 웰니스의 여섯 가지 분야

1) 건강 (Health)

  • 웰니스에서 소비자들의 1차적인 목표로, 약물, 비타민, 보충제뿐 아니라 의료장비,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앱 및 서비스도 포함됩니다.
  • 웰니스 분야에서 가장 많은 금액을 소비하는 영역입니다. 건강에 대한 소비는 상품이 70%, 서비스가 30%로 나타나고 있으며, 개인화된 서비스의 수요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 이 분야는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과 연계되어 있으며, 2023년까지 웨어러블 헬스 디바이스 시장이 9,13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e마케터의 조사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헬스 앤 피트니스 앱 이용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2) 피트니스 (Fitness)

  • 팬데믹 기간 동안 인홈/DIY 피트니스 시장이 새롭게 부상했습니다. 외부 운동시설의 영업 중지로 인해 소비자들은 홈 트레이닝 콘텐츠 및 인홈 피트니스 상품과 서비스에 눈을 돌리게 되었습니다.
  • 인홈 피트니스의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펠로톤(Peloton), 룰루레몬 스튜디오(Lululemon Studio), 토널(Tonal)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운동기구와 앱 서비스를 연동하여 새로운 피트니스의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 팬데믹 완화 이후, 소비자들은 다시 운동시설로 돌아가는 추세를 보이며, 인홈 피트니스 기구와 서비스의 이용 증가 속도는 다소 둔화되었습니다.
  • 함께 운동하는 경험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 피트니스 앱 개발 시 커뮤니티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영양 (Nutrition)

  • 영양은 웰니스를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핵심 요소입니다. 소비자들은 맛뿐만 아니라 건강한 식단을 찾으며, 다양한 식이 방법과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영양 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미국의 밀 프렙(Meal Preparation) 서비스는 손질된 식재료를 바로 조리할 수 있도록 배달하는 서비스로, 케토, 비건, 팔레오, 글루텐프리 등의 개인화된 식단을 제공합니다.
  • 식물기반 식품은 현재 푸드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10년 내에 1,62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최근 Z세대는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 트렌드를 선호하며, 의도적으로 동물성 제품의 소비를 줄이고 있습니다.

4) 외모 (Appearance)

  • 웰니스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결과가 외모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외모 분야 역시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 외모 관련 웰니스 상품으로는 애슬레저 룩(Athleisure Look), 스킨케어, 콜라겐 보충제 등이 있으며, 서비스로는 미용 시술 및 치료 등이 포함됩니다.
  • 웰니스에서 외모 분야는 소비자들이 건강한 식생활, 운동, 수면, 마음 챙김 등을 통해 얻는 결과를 반영합니다.

5) 수면 (Sleep)

  • 수면은 웰니스에서 새롭게 주목받는 분야입니다. 팬데믹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수면의 질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늘어났습니다.
  • 슬립 트래커,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앱 등이 수면 패턴을 분석하여 더 나은 수면을 도와줍니다. 암막 커튼이나 중력 이불 등도 수면 보조 상품으로 개발되었습니다.
  • 대표적인 앱 서비스로 슬립 스코어, 슬립 사이클, 프라임 슬립이 있습니다.

6) 마음 챙김 (Mindfulness)

  •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정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웰니스적 접근으로 이를 관리하려는 태도를 마음 챙김(Mindfulness)이라고 합니다.
  • 마음 챙김 서비스는 명상을 돕는 앱(Headspace, Calm), 트라바사(Travaasa)나 수드(Soothe) 등의 다양한 서비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마음 챙김은 학교 교육에서도 이용되는 개념으로, 학생의 감정 상태가 학업 성취도와 관련이 있다는 시각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3. 정리 및 시사점

  • 웰니스 산업은 몸과 정신의 조화로운 균형과 건강을 지향하는 라이프 스타일로, 특히 Z세대를 중심으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 웰니스 시장은 앞으로 10년 내에 1조 5천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 예상됩니다. 소비자들은 내추럴 및 클린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맞춤형 웰니스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 웰니스 산업에서는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이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디지털 및 온라인 영역으로 확장된 웰니스 산업에서 인플루언서는 상품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며, 마케팅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웰니스 산업의 다양한 분야와 소비자의 인식 변화를 분석하고, 웰니스 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023년 미국콘텐츠산업동향_Wellness 산업의 미래.pdf
0.98MB